글
1. 스토리지 엔진
- DB에서 데이터를 어떠한 방식으로 저장하고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스토리지엔진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 접근이 얼마나 빠른지, 얼마나 안정적인지, 트랜잭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지등의 차이점이 발생한다.
2. MySql 스토리지 엔진
- MyISAM : 기본 스토리지 엔진으로 데이터 저장에 실제적인 제한이 없고 매우 효율적으로 저장한다.
Full-Text 인덱스를 지원하며 특정 인덱스에 대해 메모리 캐쉬를 지원한다. 트랜잭션은 미지원, 테이블 레벨의 락을 지원하며 잦은 변경 및 삭제에는 좋은 성능이 나오지 못하나 데드락 발생은 예방
- InnoDB : ACID트랜잭션을 지원하며, MyISAM 보다 데이터 저장비율이 낮고, 데이터 로드 속다가 느리다.
특정 데이터와 인덱스에 대해서 메모리 캐쉬를 지원하며 외부키를 지원한다.
데이터 압축이 불가능하고 자동 에러 복구 기능이 있다.
Row 레벨의 락을 지원한다.
-Cluster(NDB) : 트랜잭션을 지원하고 모든 데이터와 인덱스가 메모리에 존재하여 매우 빠른 데이터 로드 속도를 자랑하며 PK사용시 최상의 속도를 나타내다.
-Archive : MySQL 5.0부터 새롭게 도입된 엔진으로 자동적으로 데이터 압축을 지원하며 다른 엔진에 비해 80% 저장공간 절약 효과를 자랑한다. 그리고 가장 빠른 데이터 로드 속도 또한 자랑하지만, insert와 Select만이 가능하다.
-Federated : MySQL 5.0부터 새롭게 도입된 엔진으로 물리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원격데이터를 컨트롤 할 수 있다.
실행속도는 네트워크 요소에 따라 좌우되면 테이블 정의를 통한 SSL보안 처리를 한다.
분산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사용한다.
http://www.thegreatgoodplace.com/tt/study/168?category=30
http://linuxism.tistory.com/447
'IT > DB & Nhibern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attach 오류 (0) | 2012.05.29 |
---|---|
오라클 : 계층형 데이타 쿼리 (0) | 2011.10.28 |
SQLServer2005에서 계정 비밀 번호 변경 (0) | 2011.10.28 |
.NET에서 오라클 사용하기 (0) | 2011.10.28 |
NHibernate에서 중복 제거 (0) | 2011.10.28 |
RECENT COMMENT